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프로젝트/클린코드 노마드 북클럽6

북클럽 6일차. 5장 형식 맞추기 2024. 6. 29.
북클럽 5일차. 4장 주석 [!NOTE]나쁜 코드에 주석을 달지 마라. 새로 짜라.잘 달린 주석은 그 어떤 정보보다 유용하다.경솔하고 근거 없는 주석은 코드를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오래되고 조잡한 주석은 거짓과 잘못된 정보를 퍼뜨려 해악을 미친다.주석은 기껏해야 필요악이다.주석은 언제나 실패를 의미한다.주석은 반겨 맞을 손님이 아니다.고민하자주석이 필요한 상황에 처하면 곰곰이 생각하기 바란다.코드로 의도를 표현할 방법은 없을까?코드로 의도를 표현할 때마다 스스로를 칭찬해준다.주석을 달 때마다 자신에게 표현력이 없다는 사실을 푸념해야 마땅하다.왜 주석 욕해?주석은 거짓말을 한다.너무 자주 한다.유지보수가 너무나도 힘들다.코드의 변화를 주석이 따라갈 수가 없다.부정확한 주석은 아예 없는 주석보다 훨씬 더 나쁘다.진실은 한곳에만 존재.. 2024. 6. 27.
북클럽 4일차. 3장 함수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함수는?의도를 분명히 표현하는 함수를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까?함수에 어떤 속성을 부여해야 처음 읽는 사람이 프로그램 내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까?작게 만들어라!가로 150자를 넘어서는 안된다.함수는 100줄을 넘어서는 안된다. 아니 20줄도 길다.켄트 벡의 Sparkle 예시모든 함수가 2줄, 3줄, 4줄 정도였다.각 함수가 너무도 명백했다.각 함수가 이야기 하나를 표현했다.각 함수가 너무도 멋지게 다음 무대를 준비했다.조건문 반복문 안에서 주절주절 하지 말고 함수로 뺴라.if문, else문, while문 등에 들어가는 블록은 한줄이어야 한다.중첩 구조가 생길만큼 함수가 커져서는 안된다.함수에서 들여쓰기 수준은 1단이나 2단을 넘어서면 안된다.한 가지만 해라!함수는 한 .. 2024. 6. 26.
북클럽 3일차. 2장 의미 있는 이름 의도를 분명히 밝혀라존재 이유는?수행 기능은?사용 방법은?측정하려는 값과 단위를 표현하는 이름코드 맥락이 코드 자체에 명시적으로 드러나야 한다.그릇된 정보를 피하라의미가 있는 단어를 다른 의미로 사용하면 안된다.흡사한 이름을 사용하지 말자.컨테이너 유형을 이름에 넣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 (List, Map 이런거)유사한 개념은 유사한 표기법을 사용하자.의미 있게 구분하라a1, a2 이딴식으로 구분하지 마라.ProductInfo, ProductData 이딴식으로 하지마라.쓸데없는건 넣지 마라. (String, the)정보를 담고 있어야 된다.예시getActiveAccount()getActiveAccounts()getActiveAccountInfo()발음하기 쉬운 이름을 사용하라대화나눌때 이름이 걸거치면.. 2024. 6. 24.
북클럽 2일차. 1장 깨끗한 코드 0장 추천사1. 알아보기로버트 마틴이 조잡하기에 피해야 한다고 충고한 기차 충돌 형태의 코드는 요즘 들어 읽기 쉬운 코드를 지향하는 fluent interface에 등장하고 있다.핵심은 팀이나 공동체에서 서로 동의하는 합리적인 원칙을 세우기 위한 소통에 있다. Clean Code는 이런 소통을 위한 기초 지식을 제공하고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는 책처음부터 유지보수하기 좋은 코드를 만들자.TPM(Total Productive Management)정리: 명명법. 무엇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야 한다.정돈: 예상하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청소: 안쓰는건 지워라.청결: 일관적인 구현 스타일과 기법. 표준화생활화: 관례를 따라라. 자주 돌아봐라품질은 하늘에서 뚝 떨어진 위대한 방법론이 아니라 사심 없이 기울이는 무수한 .. 2024. 6. 23.
북클럽 1일차. 클린코드 구매인증 2024. 6.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