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백엔드/데이터베이스15

JSON 데이터 BLOB 으로 저장하면서 느낀점 JSON 파일을 BLOB으로 넣자고 했었는데 클래스를 하나 더만들어서 객체 직렬화 시켜놨더라~ 그래서 JSON으로 바꿔서 디비에 BLOB으로 저장하는 방식으로 바꾸는 중에 느낀 점 1. JSON을 저장하는 방법 - Varchar2에 저장한다. 4000자가 넘지 않는 경우 - VARCHAR2(32767)을 사용하라는데 이건 내 버전에서 안되는 방법인걸로 판단됨. 12C 공식문서니까. - 넘는 경우 BLOB이나 CLOB에 넣는다. 2. 문자열을 바이너리로 캐스팅하는 함수는 2천자 글자 제한이 있다. - UTL_RAW.CAST_TO_RAW - UTL_RAW.CAST_TO_VARCHAR2 - 뜨는 버그는 ORA-06502, 그전에 문자열을 BLOB에 그대로 쓰니 뜨는 버그는 ORA-01465 - 아래 링크중에서.. 2019. 5. 7.
오라클 유저에 테이블 다 날리기 출처 : https://endorphin0710.tistory.com/33 지울 유저로 로그인해서 SELECT 'DROP TABLE "' || TABLE_NAME || '" CASCADE CONSTRAINTS;' FROM user_tables; 한걸로 테이블 전부 날리고 스키마 날리고 DROP SCHEMA TEST_S; 유저 날리기 drop user aaaa cascade; CASCADE하면 유저 고유 테이블도 다 날라간다니까 SYSTEM으로 들어가서 이것만 하면 되겠다. 2019. 4. 16.
DB 테이블 값 복사할때는 INSERT-SELECT 형상관리하니까 데이터 복사하는게 필요프로그램에 불러서 조작할 필요가 없는 경우쿼리에서 바로 집어넣는다. 기존 INSERT 쿼리 형식은INSERT INTO 테이블(넣을목록, , , , )VALUES(값들) INSERT-SELECT는INSERT INTO 테이블(넣을 목록, , , , )SELECT 넣을 목록(순서 맞춰서)FROM 복사할 원본 테이블WHERE SELECT문의 조건 2019. 1. 15.
make password not expire http://www.dba-oracle.com/t_make_password_not_expire.htm 2018. 11. 1.
BLOB 데이터 Export 하기 1. Exporting Multiple BLOBs with Oracle SQL Developer - https://www.thatjeffsmith.com/archive/2014/05/exporting-multiple-blobs-with-oracle-sql-developer/2. SQL*Loader 사용법 (초간단 정리) - https://ntalbs.github.io/2010/sql-loader/ BLOB 데이터를 Export하는 경우에는 Sql으로는 불가능하다.BLOB 데이터를 Export할 때는 SQL Loader 포맷을 이용한다. 스키마 표시 해제 : 유저정보가 표시될지 안될지 선택하는 부분저장 영역 해제 : 아래 사진에는 해제 안되어있지만 저장영역(테이블스페이스)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역시 해제하도.. 2018. 9. 18.
오라클 DB 로컬로 덤프뜨기 DB 익스포트스키마 표시 제거 create tablespace [테이블 스페이스 명]datafile [테이블스페이스 경로]size 500m; create user [유저명]identified by [비밀번호]default tablespace [테이블 스페이스 명]temporary tablespace TEMP; grant connect, dba, resource, EXP_FULL_DATABASE, IMP_FULL_DATABASE to [유저명]; 생성한 유저로 접속하고덤프뜬 sql파일 실행 2018. 7. 31.
반응형